![]() |
| ▲ 제12차 정밀 발굴 조사가 진행된 서산 보원사지 동남쪽 일원 전경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충남 서산시의 국가사적 ‘서산 보원사지’에서 고려시대 최대 규모로 추정되는 승방지가 발견됐다.
시는 국가유산청과 서산 보원사지에 대한 12차 정밀발굴조사를 추진한 결과, 승방지 건물지군 6개소, 담장지 11기, 석축 7기, 배수로 8기 등 유구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제12차 정밀 발굴 조사는 지난 3월부터 서산 보원사지 사역의 동남쪽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건물지군은 한정된 공간에 평면 형식으로 밀집된 점, 아궁이가 확인된 점, 출토 유물이 생활 용기인 점을 고려할 때 승려들이 기거했던 승방의 터로 추정된다.
조사지역 내 총 25동의 건물지로 형성돼 있으며, 각 건물지는 중앙에 마당을 둔 평면 디귿자형으로 서쪽을 향해 트여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건물지의 주춧돌 등의 배치가 어긋나 있어 최소 1차례 이상 개축된 것으로 보인다.
서산 보원사지는 창건연대는 기록을 통해 9세기 이전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크게 번창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승려 1천여 명이 머물렀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대사찰이다.
서산시는 오는 19일 운산면 용현리 55번지 일원에서 발굴조사 현장 설명회를 오후 2시부터 개최할 예정이다.
현장설명회에서는 발굴 조사 성과와 함께 출토 유물을 공개하며, 이를 통해 방문객에게 생생한 역사의 현장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국보 승격이 지정 예고된 시점에서 이번 발굴 성과는 다시 한번 보원사지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가 추진하고 있는 보원사지 종합정비사업을 통해 사적지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서산 보원사지 인근에 박물관 기능을 갖춘 보원사지 방문자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며, 해당 센터에는 전시실, 수장고, 사무실 등을 갖출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