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UTD, K리그2 우승 … 시민의 자긍심으로 비상하다.

김인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09:10:14
  • -
  • +
  • 인쇄
유정복시장 비상혁신위 가동 … 강등 1년 만의 부활 이뤄내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K리그2 우승을 확정지은 2025년 10월 26일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2025년 11월 23일, 올 시즌 마지막 홈경기가 펼쳐진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뜨거운 환호로 가득 찼다.

이날 청주FC와의 경기를 끝으로 인천유나이티드는 2025 K리그2 우승컵을 거머쥐며, K리그1 복귀를 이뤄냈다.

창단 22년 만의 첫 강등이라는 아픔을 겪은 지 1년, 시민구단 인천유나이티드는 다시 한 번 그 이름의 의미를 증명했다.

이날의 우승은 한 구단의 성취를 넘어, 도시 전체가 함께 이룬 부활의 상징이었다.

위기에서 기회로, 모두가 함께한 도전

인천유나이티드는 2003년, 4만여 명의 시민 주주가 참여해 탄생한 대한민국 대표 시민구단이다.

2005년 K리그 준우승, 2015년 FA컵 준우승, 2022년 리그 4위 및 ACL 진출 등 지난 22년간 끊임없이 도전해 온 구단은 2024년 K리그1 최하위로 강등되며 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인천시는 이를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았다.

2024년 11월 25일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구단 재정비와 체질 개선을 위해 ‘비상(飛上)혁신위원회’ 구성을 지시하고 전문가 중심의 전력 강화와 행정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그 해 12월에는 새 감독으로 윤정환 감독을 선임하며 1년 내 승격, 2년 내 상위 스플릿, 3년 내 아시아 무대 진출을 목표로 한 ‘1-2-3 프로젝트’를 선언했고 그 약속은 정확히 10개월 만에 현실이 됐다.

2025년 10월, 인천유나이티드는 승점 77점(23승 8무 5패)으로 K리그2 우승을 확정하고 단 1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다.

안정적 지원, 흔들림 없는 동행

2025년의 부활은 구단의 승리이자 시민의 성취였다.
그 안에는 좌절의 순간마다 등을 내준 시민, 묵묵히 지원한 행정, 그리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선수들이 있었다.

인천시는 강등 이후에도 구단의 안정을 최우선으로 뒀다.

2025년에도 전년과 동일한 160억 원(시비 110억 원, 경제청 5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유지하며 구단의 안정적 운영을 도왔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유나이티드는 선수단 보강과 유소년 시스템 확충, 홈경기 운영 개선 등 기반을 다졌다.

뿐만 아니라 인천시는 구단의 상징이자 시민이 가장 사랑하는 공격수 스테판 무고사 선수에게 ‘인천광역시 명예시민증’을 수여하며, 인천 축구가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도시의 문화임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2025년 인천유나이티드의 부활에는 행정의 힘만 작용한 것이 아니다. 시민의 응원과 지역사회의 지지가 함게 만들어 낸 결실이었다.

올 시즌 인천유나이티드는 10월 말 K리그2 36경기에서 23승 8무 5패 승점, 76점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하며 조기 우승을 확정했다.

홈경기 평균 관중은 1만여 명을 돌파했고, 누적 관중 수는 19만 3천 302명(25년 11월 23일 기준)으로 시·도민 구단 중 최고 수준이었다. 시민들은 ‘Be united be the one (다시 우리의 자리로)’는 응원을 외쳤고, 선수들은 그 함성에 응답했다.

인천 축구 응원 대표 서포터즈 검정·파랑의 함성 소리는 승격으로의 간절한 외침이였으며 유소년부터 시니어까지, 세대를 아우른 응원 문화도 인천만의 장점이었다.

시민구단이기에 가능한 이 따뜻한 공감대는, 인천을 대한민국 대표 ‘축구도시’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스포츠를 넘어 도시의 상징으로

오늘의 인천유나이티드는 단순한 스포츠 팀이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브랜드이자, 시민의 자긍심을 상징하는 존재가 됐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인천유나이티드의 부활은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진 결과”라며“시민이 함께 웃는 도시, 스포츠로 하나 되는 인천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향후 경기장과 주변 공간을 시민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생활 문화공간으로 다듬고, 청소년들이 성장할 축구 인프라를 개선하며, 시민 참여 프로그램과 지역 축제와 연계된 팬 활동을 정착시켜 구단과 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흐름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