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긴꼬리벵에돔(부화 180일, 전장 12~14cm)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이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주해역 서식 어종인 긴꼬리벵에돔과 말쥐치를 활용한 혼합 어종 양식 실증연구에 나선다.
최근 여름철 고수온으로 인해 광어 양식장 피해가 지속되면서 고수온에 강한 대체 양식어종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대응책이다.
현재 도내 주요 양식 어종은 광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지하해수가 개발된 동부 지역에서는 강도다리가 광어를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터봇 등도 양식되고 있다.
연구원은 자연산 어미를 확보해 성숙유도를 통한 수정란을 생산했으며, 올해 긴꼬리벵에돔과 말쥐치 종자 생산에 성공했다.
9월부터 도내 양식장 4곳에 어종별로 각각 2곳씩 보급해 양식 실증을 시작했다. 향후 사육 환경별 양식 데이터를 확보하고 혼합양식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긴꼬리벵에돔은 벵에돔과 유사한 아열대 어종으로 최적 서식 수온이 24℃ 전후여서 고수온 적응성이 뛰어나다. 도내에서 고급 횟감으로 각광받고 있어 경제성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말쥐치는 도내에서 조림, 회 등으로 인기있는 어종이지만 현재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어 양식을 통한 안정적 공급이 필요한 상태다.
강봉조 해양수산연구장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광어양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제주 양식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갈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