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용근 의원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박용근 의원은 지난 20일 열린 전북자치도의회 제42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을 통해 2036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의 현실성과 절차적 타당성 검증 등에 나섰다.
박 의원은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가 아니라 지역경제를 일으키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며, 문화와 관광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국가적 프로젝트”라면서 “따라서 그만큼 현실성 있는 준비와 명확한 근거, 투명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긴급현안질문을 시작했다.
먼저 박 의원은 “전주가 국내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되긴 했지만, 올림픽 유치와 같은 대규모 재정 사업을 추진하면서 도의회와 사전 소통이나 협의가 없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고 질책한 후, 첫 번째로“2036전주하계올림픽 개최가 김관영 지사의 발상이었는지, 주변인의 기획이었는지”물었다.
이어 박 의원은 “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전국 10개 지자체 연대를 구성해 하계 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은 이미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는 윤준병 국회의원의 발언을 제시하며, “IOC가 여러 도시가 협력하는 방식의 개최를 권장하고 있다”는 발언의 출처를 밝힐 것을 요구했다.
세 번째로, 박 의원은 IOC는 개최지 요건으로 △압축적인 경기장 배치 △선수촌은 경기장으로부터 1시간 이내 또는 50km 내에 위치할 것 △IOC 관계자용 숙박시설 4만 객실과 관광객용 숙박시설 4만 객실 등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IOC가 요구하는 숙박시설 등 개최지 요건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지 상세한 답변을 요구했다.
현재 전주, 군산, 익산, 완주의 숙박시설을 모두 합쳐도 전북자치도는 관광숙박시설 896개소에 총 9,276실을 보유하고 있어 IOC가 요구하는 8만실의 숙박시설을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선수촌을 전주에 둔다고 했을 때, 군산의 경기장도 IOC가 요구하는 시간·거리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박 의원은 네 번째로 전북자치도의 지방비 부담 비중에 관해 따져 물었다. 박 의원은 “과거 두 차례 올림픽 모두 국비 95%, 지방비 5%로 지원됐던 만큼 40% 부담 규정은 불합리하다는 데 국회도 공감했다”는 김관연 지사의 발언에 대해 “현재 지방비 부담 완화는 전북자치도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면서 “만약 정부가 지방비 40퍼센트 부담 규정을 완화하지 않는다면, 전북자치도는 어떻게 할 것인지” 답변을 요구했다.
또한 박 의원은 “전북자치도는 IOC의 비공개 요구, 전략상 보안이라는 이유 등을 제시하며 밀실행정을 펼칠 게 아니라 모든 것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면서 “전북자치도의 올림픽 유치 활동과 계획 등을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의향이 있”는지 답변을 요구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전주올림픽 유치를 위해선 해결해야 할 국내 행정절차가 만많이 남아 있지만 전북자치도는 실무적 부분보다는 홍보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질책한 후, “지금은 홍보보다는 올림픽 유치 국내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한 활동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박 의원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소통과 협력이며, 소통과 협력은 허위가 아니라 진실 위에서만 가능하다며 전북자치도는 올림픽 유치를 둘러싼 현실과 한계를 숨기지 말고, 도민과 함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