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 김기덕 시의원, “한강 교량 투신자살 시도 3년 연속 1,000여건 , 마포대교 압도적 1위”대책 절실

김인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4 18:25:28
  • -
  • +
  • 인쇄
지난 5년간(’21-25.7.) 한강 교량 중 가장 높은 자살 시도는 ’마포대교‘가 여전해..
▲ 서울시의회 김기덕 시의원 (더불어민주당/마포4)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최근 5년간(‘21-’25.7.) 서울시 약 20여개의 한강 교량(다리) 투신자살 시도 건수를 분석한 결과, ‘22년 1,000건, ’23년 1,035건에 이어, ‘24년은 1,272건으로, 3년 연속 1,000여건 이상을 나타내며, 자살 건수가 역대최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특별시의회 김기덕 의원(더불어민주당·마포4)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 간(‘21-’25.7.) 한강 교량(다리)별 자살시도 및 투신 현황'에서 나타난 결과로서, 김 의원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자살 시도의 심각성은 물론, 자살 방지 대책의 필요성이 적극 요구된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25년 7월 기준, 한강 교량 자살지도자(생존과 사망 포함)건수는 780건으로, 이 중 3년 연속(’22-24년) 1위를 기록한 마포대교는 194건이며, ‘24년 총건수 1,272건 대비 마포대교 건수가 352건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기덕 의원은 “지난 ‘22년 이후, 한강 교량 자살시도자 수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1,000여건 이상의 결과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22~23년 자살시도자 대비 사망건수는 4건에 그쳤으나, ’24년 7건, ‘25년은 7개월간 수치인데도 사망자 수가 8건으로 증가한 점에서 한강 교량 자살시도자 등의 사전관리가 부실해 보인다”며 문제를 지적했다.

최근 5년간(‘21-’25.7.) 한강 교량 자살시도자(생존,사망 포함)를 연령대별로 분류하면, 지난 5년간 총 4,713명 가운데 △30대(791명), △20대(670명), △40대(664명), △50대(577명) 순으로, 20~30대 청년층 비율이 30%를 넘어서고 있으며, 중장년층 또한 30%에 육박하고 있어 연령대별로 대체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3년의 경우, 한강 교량 자살시도자 총 1,035명 가운데, △30대( 277건)가 가장 높았던 반면, ’24년의 경우 총 1,272명 가운데, △50대( 252명), △40대(217명) 순, ‘25년(7월 기준)의 경우, 780명 가운데, 40대(146명), 50대(135명) 순으로 자살시도자 연령대가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5년간(‘21-’25.7.) 한강 교량 자살시도자(생존,사망 포함)를 성별로 분류하면, ‘21년은 △남성(396건), △여성(218건), ’22년은 △남성( 397건), △여성(254건)으로 여성의 자살시도자 수가 남성에 비해 증가하긴 했으나, ‘23년 △남성(798건), △여성(114건)으로 남성의 자살시도 비율이 77%를 넘는 등 압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24년에도 △남성(749건), △여성(267건) 순으로 여성의 비율이 전년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올해 7월 기준 △남성(496명), △여성(198건)을 나타내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자살 시도 수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 자살시도의 실질적 원인분석과 남성과 여성에 대한 자살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자살시도로 발생할 수 있는 대응 능력을 위해 교량별 관할 수난구조대 확대는 물론, 최근 한강 교량 일대 CCTV 등 통합관제시스템의 설치 장비 확보 및 노후화된 시설 점검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는 20여 개 이상의 한강 교량 중, 총 16개 관할 수난구조대(△여의도(가양, 양화 등 총 6개소), △반포(한강 등 총 4개소), △뚝섬(잠실 등 총 4개소), △광나루(광진, 천호))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또한, 전체 한강 교량별 주요 설치 장비는 △CCTV(고정형, 회전형 등) 923개, △비상벨(비상방송) 148개, △경광등 244개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김 의원은 “‘22-24년 3년 연속 1,000여건, 압도적 1위인 마포대교의 경우, CCTV, 비상벨 등 주요 설치 장비가 한강 교량 중 서강대교와 동일하게 가장 오래 전인 2012년 설치 후, ’19년 11월에 재구축됐다”면서, “현재까지 높은 자살시도 수치 등을 고려하여 여전히 운영 및 시행 등에 문제가 없는지 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이 OECD 자살률 1위의 오명을 벗어나고자 자살위기 범부처 정책 수단을 본격적으로 가동한 만큼, 서울시 역시 자살 고위험군의 대응과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지자체별 ‘자살예방 전담체계’ 등을 구축해, 자살률을 감축하기 위한 각종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