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통일(統一)에서 통일(通一)로’ 남북 학생 교류 추진

김인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6 18:30:28
  • -
  • +
  • 인쇄
전국 10만 통일(通一) 인재 양성 위한 남북 학생 교류 청사진 마련
▲ 김대중 전남교육감이 지난 25일 통일부를 방문해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전라남도교육청은 남북 학생이 함께 미래를 설계하는 ‘통일(統一)에서 통일(通一)로’남북 학생 교류 모델을 마련해 통일부에 공식 제안하고, 학생 주도 평화·통일교육 기반을 확대하는 사업 추진 계획을 밝혔다.

이번 제안은 전남이 가진 문화·지리적 특성,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이라는 상징성, 그리고 지난 10년간 축적해 온 독서·토론 중심 인문교육 성과를 토대로 미래세대 중심의 남북 교류 환경을 조성해 전국적 공감대 확산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남교육청의 남북 학생 교류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 1단계 ‘평화 품은 책길 10주년 한마당’ ▲ 2단계 ‘전남·경북 학생 평화 수호 프로젝트’ ▲ 3단계 ‘전국 10만 학생 참여 통일 인재 양성 교류’로 이어지는 3단계 로드맵을 제안했다.

1단계는 2025년 9월 개최한 ‘평화를 품은 책길 10주년 한마당’에서 이미 시작됐다. 이는 지난 10년간의 평화·통일교육 성과를 공유하며 학생들이 남북교류 추진을 선언하는 자리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2단계는 2026년 7월 추진 예정인 ‘전남·경북 학생 평화 수호 프로젝트’로, 전남·경북 평화·민주 장소 견학 및 인문학적 고찰, DMZ 탐방 등을 통해 동·서간의 상호이해와 평화 감수성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다.

3단계는 전국 10만 명의 통일 인재 양성을 위해 목포역–도라산역–개성역–평양역–단동을 잇는 남북 학생 교류를 제안했다. 북측 진입이 어려울 경우 임진각·평화누리공원 일대에서 아시아 청소년 평화포럼, 평화 기원 문화예술축제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국민 청원 서명과 릴레이 챌린지를 통해 전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아울러, 전남교육청은 통일·평화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가칭)‘아시아 의(義) 청소년 평화교육센터’ 설립도 제안했다. 아시아 의(義) 청소년 평화교육센터’가 구축될 경우 전남-대한민국-아시아-세계로 이어지는 평화 주도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지난 25일 통일부를 직접 방문해 이런 내용의 추진계획을 정동영 통일부장관에게 직접 제안했다. 특히, 이번 통일부 방문에는 김문수 국회의원(국회 교육위원회)과 나광국 전라남도의원이 함께 참여해 전라남도교육청–중앙정부–지방정부 협력의 모델을 보여줬다. 또한, 통일부가 정책의 문을 열고, 교육부가 실행력을 더하는 공동 협의 구조 속에서 추진된 제안이라는 점에서 정책적 가치가 더욱 돋보인다.

정동영 장관은 전남교육청에서 꾸준히 평화교육을 추진해 온 데 놀라움을 표하며, “전남교육청의 계획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통일부 예산의 90%가 남북교류 기금으로 당장 예산 지원에 어려움은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에 잠자고 있는 남북교류기금 활용을 위한 관련 법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최우선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국회의원은 “민주·평화·인권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법개정과 동시에 학교현장에서 평화교육이 활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힘을 보탰고, 나광국 전남도의원도 “전남교육청과 지자체의 협력을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김대중 교육감은 “기후위기와 AI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는 시공간과 국경을 넘어서는 초국가적 평화 감수성이 더욱 중요하다”며 “전남 학생들이 평화를 삶 속에서 경험하고 배우며, 미래세대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남북학생교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